6. 배설요구

01 배뇨
1. 비뇨기계 구조와 기능
1) 비뇨기계
(1)신장,요관,방광,요도로구성
(2)요도
남성의요도:15~20cm
여성의요도:3~6cm(남성에비해요도가짧아빈번한요로감염의위험성)
2) 배뇨
(1) 방광을비우는과정
(2) 배뇨근의수축,내·외요도괄약근의이완으로유도
(3) 방광내150~300cc의소변축적→배뇨
(4) 정상시1,500~2,000mL/day배뇨
(5) 요분석의정상수치
pH
|
단백질
|
포도당
|
케톤
|
혈액
|
요비중
|
4.6~8.0
|
정상소변에없음
|
정상소변에없음
|
정상소변에없음
|
적혈구0~2개이
내가정상임
|
1.01~1.03
|
2. 요배설과 관련된 문제의 종류와 원인
1) 소변량 문제
무뇨(anuria)
|
핍뇨(oliguria)
|
다뇨(polyuria)
|
100mL/24시간이하
|
•100mL/24시간이하
•30mL/hr이하
|
3,000mL/24시간
|
2) 배뇨장애
배뇨곤란(dysuria)
|
•배뇨의 시작이 어렵고 통증, 작열감, 불편감이 있는 경우
•감염, 성교후 요도구 자극
|
빈뇨(frequency)
|
1일 10회 이상, 밤에 2회 이상 또는 소량 자주 배뇨
cf 정상: 낮 5~6회, 밤 0~1회
|
긴박뇨(urgency)
|
•배뇨욕구가 긴박하게 발생하여 변기에 도달하기 전 배뇨, 참을 수 없음
•방광의 충만, 감염, 불완전한 요도괄약근, 심리적 스트레스
|
야뇨증(nocturia)
|
•야간 수면중 2회 이상 소변을 보기 위해 깨는 것
•원인: 자기 전 과도한 수분섭취(커피 또는 음주), 신장질환, 노화과정
|
배뇨지연, 지연뇨
(hesitency)
|
배뇨시작이 지연되고 어려움
|
요실금(incontinence)
|
소변이 불수의적으로 배출됨
|
유뇨증(enuresis)
|
4~5세가 지나도 소변을 가리지 못하고 불수의적으로 배뇨함
|
요정체(urinary retention)
|
•소변 생성에는 문제가 없으나 기능적, 해부학적 문제로 소변이 정체됨
•요도 폐쇄, 방광요관역류, 신경인성 방광 등
|
3) 요실금(incontinenece)
|
병태생리
|
치료
|
복압성, 스트레스성
(stress)
|
•요도 괄약근 허약
•복압상승 시 실금
ex 기침, 재채기, 웃음, 코풀기, 운동 등
•대개 여성에서 나타남(폐경 후, 다산부)
|
•골반저 근육 운동(케겔 운동)
•비만인 경우 체중 조절
|
긴박성
(urge)
|
•강한 요의와 함께 불수의적 방광수축으로 갑
작스럽게 다량의 실금
•요의 흐름을 저지시키지 못함
•운동 신경장애: 억제성 배뇨근 조절 장애
|
•원인 치료
•골반저 근육 운동(케겔 운동)
•방광훈련
|
역리성
(overflow, 축뇨성)
|
•방광의 정체와 과잉 팽만으로 소변이 넘쳐 불
수의적으로 소량의 요배설
•방광출구의 폐쇄
|
•원인질환 치료
•인공도뇨
•valsalva 수기, Crede’s maneuver
|
반사성
(reflex, 계속적)
|
•배뇨 행위를 억제하지 못하고 배뇨 반사자극
을 받으면 즉시 배뇨
•흉추 10번 위쪽 병소
|
•원인질환 치료
•방광훈련
•체외 소변수집 기구
|
기능적
(functional)
|
•화장실에 가는데 필요한 시간 동안 괄약근 조
절 불가능
•신체적 제한, 지남력 상실, 환경장애
|
•이동보조기구
•방광 훈련
•간이 소변기
|
3. 소변검사물 수집방법
1) 자연배뇨 검체물: 아침에 일어나 가장 먼저 배뇨된 소변 수집
2) 청결수집 검체물(중간소변): 처음에 나오는 소변을 30mL 정도 버린 후 배뇨 중간에 멸균된 검사물 용기에
소변을 받음
3) 도뇨관을이용한소변수집
단순도뇨관
|
유치도뇨관
|
•멸균뇨수집목적
• 잔뇨량측정시이용
▶ 잔뇨량 50mL 이상이면 필요시 유치도뇨관 삽입
|
•검사물채취전에5~10분동안수집용기아래쪽의배액
튜브조절기를잠금
•수집할부위에30~45°각도로주사바늘을삽입함
•준비된검사용기에소변을넣고용기를덮은뒤뚜껑안
은멸균상태를유지
|
4) 24시간 소변 수집:수집시작 시간의 첫 소변은 버리고,다음 24시간 동안 배설된 마지막소변까지 전부를 수집
4. 배뇨장애 간호
1) 정상 배뇨의 증진
(1) 정상적인배뇨자세(변기에앉거나쭈그려앉는자세)
(2) 하루수분섭취:1,500~2,500mL/일유지
(3) 배뇨촉진법(배뇨반사자극)
① 요의를느낄때즉시화장실에가도록함
② 따뜻한좌욕하기
③ 물흐르는소리들려주기
④ 다리대퇴부를가볍게두드려주기
⑤ 회음부에따뜻한물부어주기
⑥ 손을따뜻한물에담그기
⑦ 방광위를부드럽게눌러주기
2) 요실금 대상자 간호
(1) 요실금일반적관리:배뇨양상기록,규칙적으로변기에앉도록교육,적절한수분섭취권장하되저녁에는
수분제한
(2) 케겔운동(Kegelexercise)
(3) 방광조절훈련
3) 도뇨(catheterization)
(1) 목적
단순도뇨(simple catheterization; 간헐적 도뇨)
|
유치도뇨(foley catheterization; 정체도뇨)
|
•급성방광팽만의즉각적인완화를위해
•무균적인소변검사물을얻기위해
•배뇨후잔뇨량의측정을위해
|
•중환자의계속적인소변량측정을위해
•실금하는혼수환자,지남력을상실한대상자의피부손상막기
위해
|
(2) 유치도뇨 시 주의사항
① urine bag이 항상 방광보다 아래에 있도록 함 ▶ 역류 방지
② 유치도뇨관 제거 시
• 주사기로 카테터의 풍선 내 액체를 흡입
• 요도구의 바깥 지점까지 카테터를 부드럽게 잡아당김
• 요도구를 닫음
• 제거 후 8~10시간 동안 환자의 배뇨상태 관찰하며 배뇨 시마다 배뇨량 측정
(3) 간헐적 자가 도뇨: 척수 손상과 같은 신경성 방광기능 상실로 인해 자력으로 배뇨가 곤란한 대상자가 스스
로 간헐적으로 요도에 카테터를 삽입하여 방광 내 소변을 비움
02 배변
1. 배변 간호
1) 약물요법
(1) 하제(cathartics), 완하제(laxative): 장배설을 유도하는 약
|
약물
|
작용기전
|
부피형성 하제
(bulk-forming cathartics)
|
•Psyllium hydrophilic mucilloid
•methylcellulose
|
장내 수분, 가스, 덩어리를 증가시켜 장의
연동운동을 자극
|
윤활제
(lubricants)
|
광물성유(mineral oil)
|
•변을 부드럽게 함 •변의 건조를 지연시킴
|
자극성 하제
(chemical irritants)
|
•피마자 오일(caster oil)
•bisacodyl(dulcolax)
|
장점막을 자극해 소장과 대장에서 내용물
이 빨리 이동되어 수분의 흡수를 방해
|
습윤제
(moisturing)
|
Docusate(colace)
|
•대변의 표면장력을 낮추어 분변 쪽으로
수분과 지방이 스며들게 함
•장의 수분흡수를 억제
|
식염성 하제
(saline cathartics)
|
•수산화 마그네슘(magnesium hydroxide)
•인산나트륨(sodium phosphate)
|
장에서 흡수되지 않는 수용성 염분제제로
삼투압을 형성해 분변 내로 수분을 흡수
|
(2) 지사제: 설사를 억제하여 정상적인 배변을 유도하는 약물
(3)좌약(suppository)
① 체온에의해녹는구형또는타원형태의알약으로직장에삽입하여대변배출증진
② 절차
• 냉장고에보관한좌약을준비
• 심스체위취함
• 천천히심호흡을하게하여뾰족한부분을앞으로해서좌약을성인10cm,소아5cm정도삽입
• 좌약을대변이아닌직장벽에밀착시켜야효과나타남 cf 대변 내로 좌약이 들어가지 않도록 함
• 적어도15~30분정도좌약을보유하고있도록교육함
2) 관장(enema)
(1) 직장과S상결장내로용액을주입하는것
(2) 관장의종류
배출관장(청결관장)
|
정체관장
|
직장내용액을주입하여즉시배출유도하도록함
|
용액을장내에일정시간동안보유하게함
|
용액5~15분보유(변제거목적)
|
용액최소30분이상보유
▶ 일반적으로 배출관장 후 시행
|
• 고장액(Fleet관장):최대한결장을깨끗하게하기위함
ex바륨배출
•등장액(생리식염수)
•저장액(수돗물):수분중독위험
•비눗물:물1000cc+비누5g
|
•약물관장
Neomycin: 장수술전장내세균감소,간성혼수시
Kayexalate: 대변으로칼륨최대배출위함ex신장환자
•유류관장:meneraloil,올리브오일,글리세린
|
3) 관장의 절차
① 관장액온도:성인은40~43℃
② 오른쪽무릎을구부린좌측위또는심스체위를취하도록함
③ 천천히심호흡을내쉬도록함으로써이완되도록한뒤윤활제를바른직장관을직장안으로부드럽게삽
입하여배꼽방향으로밀어넣음(심호흡은괄약근의이완을돕고,직장점막에손상을입히는것막음)
④ 삽입길이:성인은7.5~10cm
⑤ 대상자가복통을호소하거나용액이관사이로빠져나올경우용기를낮추거나관을잠금
⑥ 관장용기를들어용액이들어가게함(30~45cm)
⑦ 팽만감이있음을설명하고,가능한5~10분보유하게함
⑧ 심한경련,출혈혹은갑작스런심한복통등이발생하면관장을멈춤
⑨ 용액이다주입되었으면관을잠그고항문에있는튜브주위를휴지로막은채직장튜브를제거
2. 장루술(인공항문) 환자 간호
1) 장루 간호
(1) stoma관리,장루주머니교환
① 누공주위피부의발적,궤양,자극유무를관찰
② 누공주위의피부를중성비누로이용해닦고건조
③ 주머니는1/3~1/2정도찼을때비우도록함
④ 따뜻한수돗물과비누를사용하여장루주머니를세척
(2) 장루대상자가피해야할음식
① 냄새유발음식,가스유발음식
② 굳은변유발음식,묽은변유발음식
③ 섬유질풍부하여폐색유발음식
'기본간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국가시험 필수! 기본간호학 요약 정리 8강 체온유지 (1) | 2022.08.23 |
---|---|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필수! 기본간호학 요약 정리 7강 개인위생 (0) | 2022.08.22 |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필수! 기본간호학 요약 정리 5강 영양 (0) | 2022.08.21 |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필수! 기본간호학 요약 정리 4강 산소화요구 (0) | 2022.08.20 |
간호사, 간호조무사 등 필수! 기본간호학 요약 정리 3강 간호과정 (0) | 2022.08.18 |